지난 21일(현지시간) 말레이시
oreo
0
6
8시간전
지난 21일(현지시간) 말레이시아 방산전시회 ‘LIMA 2025’에 마련된 한국관에서 조근식 주식회사 증강지능 대표(가운데)가 인공지능(AI) 기반 혼합현실(MR)을 이용한 항공 정비 시뮬레이터 체험을 안내하고 있다. 한국방위산업진흥회 제공 지난 21일(현지시간) 말레이시아 ‘랑카위 국제 해양·항공전시회(LIMA) 2025’ 한국관의 중소기업 ‘증강지능’ 부스. 고글과 비슷한 혼합현실(MR) 헤드셋을 쓰자 3차원으로 ‘보잉 737’의 랜딩기어(착륙 시 사용하는 바퀴)가 눈앞에 나타났다. 화면 아래에 랜딩기어 브레이크 부분을 여는 방법이 적혀 있었고, 같은 내용의 음성이 들렸다. “넥스트 페이지(다음 장으로)”라고 외치자 화면이 바뀌었다.이번 행사의 한국관은 방위사업청과 국방기술진흥연구소(국기연)가 중견·중소기업들을 모아 만들었다. 이들 기관이 한국관 설치를 주도한 것은 한국 중소기업 제품을 택할 경우 한국 정부가 후원자 역할을 한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다.이날 인공지능(AI)를 활용하는 중소기업인 ‘증강지능’이 MR 헤드셋을 쓴 관람객을 대상으로 시연에 나서자 인파가 몰렸다. 증강지능 관계자는 시연 참가가에게 “수십만 장에 달하는 항공기 정비 매뉴얼을 AI에 학습시킨 뒤 가상으로 구현한 결과”라며 “항공안전법에 따라 항공기 정비는 메뉴얼을 그대로 지켜야 하는데, 가상으로 구현된 화면과 음성을 따라하는 것으로 작업 능률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조근식 증강지능 대표는 “항공기 수리에 사용할 수도 있다”며 “일하는 시간이 절반으로 줄어든다”고 덧붙였다.해당 기술은 현재 국내 항공과학고등학교 등에서 사용하고 있다. 항공안전법상 항공정비 교육기관은 실물 항공기 3대 이상을 보유해야 하는데, 2021년 정부의 규제 유예제도(규제 샌드박스)를 적용 받았다. 조 대표는 “미국 항공엔진 제조사 ‘GE에어로스페이스’와 협업을 준비 중”이라며 “말레이시아를 비롯한 동남아 항공 교육과 유지·보수·정비(MRO)시장 진출도 희망한다”고 말했다. 말레이시아 랑카위 방산전시회 ‘LIMA 2025’의 이튿날인 지난 21일(현지시간) 전시회 참가자들이 전시회장에 마련된 한국관 '유모차 수송작전' 딘 헤스 대령(사진 가운데)이 1951년 제주에 있는 한국보육원을 방문해 당시 수송했던 어린이 및 황온순 원장(왼쪽)과 촬영한 사진. (사진, 한국보육원) 한국전쟁 당시 수많은 고아들을 살린 '유모차 수송작전(The Kiddy Car Airlift)'의 주역 고(故) 딘 헤스(Dean E. Hess) 미국 공군 대령을 기억하는 추모 행사가 오늘(22일) 제주에서 열렸습니다. 제주자치도 보훈청에 따르면, '고 딘 헤스 대령 서거 10주기 추모식'이 이날 제주항공우주박물관에서 대한민국 공군 주관으로 진행됐습니다.헤스 대령은 한국전쟁 당시 바우트 원(BOUT-1) 부대장으로 공군 주력기인 F-51(무스탕) 전투기를 한국 공군 조종사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양성하는 임무를 수행했습니다. 부대 창설 1년여 만에 단독 작전 수행이 가능한 한국 공군 전투 조종사 24명을 양성했고, 총 250여 회의 전투에 참여하기도 했습니다. 특히, 그의 업적 중 가장 빛나는 부분은 1천명에 달하는 전쟁고아들을 살렸다는 평가를 받는 '유모차 수송작전'입니다. 이 작전은 전쟁이 한창이던 1949년 12월, 중공군이 참전하며 유리했던 전세가 기울어지고 서울이 함락될 위기에 놓이자 서울에 남은 고아들을 구출하기 위해 전개됐습니다. 헤스 대령 등은 이 작전에 따라 수송기 16대를 투입해 김포 군사공항에서 제주로 약 950명의 고아와 80명 정도의 고아원 직원을 제주로 옮겼습니다. 제주로 온 고아들은 미군 트럭에 나눠 태워져 수용 장소인 제주농업학교(현재 한국토지주택공사 제주지사 일대)로 옮겨졌고, 이후 연령별로 천막과 교실 등에 나뉘어 생활하게 됐습니다. 당시에 아이들을 보호했던 곳이 한국보육원으로,UN 지원을 받아 설립됐다고 해서 당시 제주도민들은 'UN고아원'이라고 부르기도 했습니다. 한국보육원은 현재 경기도로 자리를 옮겨 운영되고 있습니다. 당시 '유모차 수송작전'으로 제주로 피난하게 된 한국보육원의 원아들.(사진, 『제주사회복지 발자취』